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개발 작업(with Unity 엔진) 제작의 참맛을 느낀 게임
    카테고리 없음 2021. 12. 12. 04:18

    현실과는 다른 게임 속의 세계.덕분에 많은 역할과 배경과 분위기를 경험하면서 어릴적부터 많은 매력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또 요즘은 색다른 세계관을 보여주면서 게임이 다양하게 발매되고 있는 만큼 저도 게임 개발에 관심이 쏠리고 있어요.

    또 최근에는 국내 게임 개발자들도 큰 포부를 드러내고 해외에까지 발길을 뻗치니 저도 욕심을 내도 되는 것 같아 도전하게 된 종목 중 하나입니다.

    저같은초보들에게는진입할수있는벽이굉장히높아보이지만알고몇개만알아두면이거대한벽을조금은쉽게올라가서넘어갈수있는부분입니다.

    저의 경우 어떤 부분에 초점을 두고 게임을 개발하는 것이 좋을까 고민도 했지만, 어쨌든 유니티 엔진이 조금은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과연 이게 어떤 프로그램인지 처음에는 다소 생소하게 느껴졌지만 유니티는 2004년 8월에 유니티 테크놀로지가 만든 엔진의 하나로 2D에서 3D까지 다방면에 걸친 프로그램의 하나로 많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각광받고 있어서 저도 한번 이용해 봤습니다.

    지금도 인기 있는 왕신과 바람의 나라, 그리고 제가 아직도 깊게 파고 있는 아몬어스도 유니티 엔진에서 시작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깜짝 놀랐어요. ㅋㅋ

    어쨌든 이 엔진은 게임을 넘어서 영상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3D 컨텐츠 플랫폼 안에서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게임 개발의 시작점에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게임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전에는 복잡한 코딩을 파악하면서 이해하는 것이 열쇠였지만ㅜㅜ.유니티 엔진은 어려운 코딩 과정을 없애며 누구나 쉽게 게임 개발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구성합니다. 복잡한 코딩 과정을 뛰어넘어 폭넓은 세계관을 나타낸 게임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저처럼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UNITE 엔진이 필수라는 생각이!

    여기서 팁을 드리자면, 저는 에셋스토어도 많이 활용했는데, 이것이 하나의 마켓처럼 게임을 만드는 데 필요한 기능을 매매하는 시장 같은 곳이라 10개 중 9개는 이 스토어를 통해 그 기능을 익히기도 했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팁! 편리해요!!!

    다시본론으로돌아와서UNITE엔진을사용하면서초기자금도많이들지않고업무처리를차근차근진행할수있었는데이자금과는별개로PC,모바일,VR등다양한플랫폼안에서이용할수있기때문에저처럼1인제작사의경우자주이용하고있다고합니다.
    저도 어렸을 때부터 접했던 레고사에서 게임을 개발하는 데 유니티와 함께 있다는 얘기를 듣고 좀 더 안정적이라고 느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홈페이지에 들어가 PC 운영체제에 맞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https://unity.com/kr/download 

     

    다운로드

    지금 Unity를 다운로드하고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인기를 누리는 2D/3D 멀티플랫폼 경험 및 게임 제작용 개발 플랫폼을 사용하세요.

    unity.com

    들어가면 설명 안내를 받을 거예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왼쪽에 프로젝트, 학습, 커뮤니티, 설치 메뉴가 나오고 학습 메뉴에 있는 튜토리얼에서 기본을 익힌 뒤 프로젝트에 들어가 목적에 맞는 템플릿을 선택.
    툴과 툴이 상당히 쉽게 정렬되어 있는 만큼 처음에는 안정적이었지만 프로그램 개발이 언제나처럼 어느 순간 난관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그럴 땐 이 유튜브 영상을 보면서 조금씩 독학으로 나가는데 혼자 하기엔 꽤 그럴듯한 제작 과정을 밟고 있어 만족스러워요.

    유튜브 영상은 아래!

    https://youtu.be/MqB0485r838 

    완벽한 달인은 아니더라도 어느새 기본 지식은 다 이어놓은 채 게임을 만들어가고 있는데, 이 무진장한 세계관을 제 손으로 제작해 나간다고 하니 너무 떨리는 일입니다. 후후..

    하나의 꿈이었기에 제가 생각했던 목표치까지 가볼까 하여 혼자서 많은 정보를 모아보았지만, 저의 오랜 노력이 헛되지 않은 것 같아 기쁜 마음으로 짧은 글을 써보았습니다.

     

     

    이 글은 소정의 원고료를 받아서 작성한 글입니다.

Designed by Tistory.